맨위로가기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2006년에 실시되었으며, 투표율은 51.6%를 기록했다. 선거 제도로는 기초의원 선거가 중선거구제로 변경되었고, 비례대표제가 광역 및 기초 의원에 신설되었으며, 정당 공천제가 허용되었다. 선거 결과 한나라당이 광역자치단체장 16곳 중 12곳, 기초자치단체장 230곳 중 155곳에서 승리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열린우리당은 광역자치단체장 1곳, 기초자치단체장 19곳에서 승리했다. 민주당은 광역자치단체장 2곳, 기초자치단체장 20곳에서 승리했으며, 무소속 후보는 광역자치단체장 1곳, 기초자치단체장 29곳에서 당선되었다. 선거 결과는 한나라당의 압승으로 나타났으며, 열린우리당은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부산 금정구 마선거구에서는 실종된 후보가 당선되는 특이한 사건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대한민국의 선거 - 200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0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26일과 10월 25일 두 차례에 걸쳐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등을 포함하여 실시되었으며, 한나라당의 압승과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의 지지율 하락, 지역별 정치적 성향 차이를 드러냈다.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자치단체장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서울특별시장을 포함한 16개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다수 당선되었다.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 선거는 부산광역시를 포함한 여러 광역자치단체에서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부산광역시에서는 국민의힘과 무소속 후보들이 각 구·군별 기초의원 선거에 참여했다.
  • 2006년 5월 -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국민투표
    2006년 5월 21일 몬테네그로 독립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에서 독립 찬성안이 채택되어 6월 3일 독립을 선언,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몬테네그로의 최종 독립을 확정지었으며 유럽연합 감독 하에 투표율 50% 초과 및 찬성 55% 이상 득표 조건을 충족하여 국제적 승인을 받았다.
  • 2006년 5월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6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06은 그리스의 우승으로 2006년 5월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된 제51회 대회로, 37개국이 참가, 핀란드의 로디가 우승을 차지했다.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지도
대한민국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단체장 당선자 결과 한나라당 민주당 열린우리당 무소속
대한민국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단체장 당선자 결과
한나라당, 민주당, 열린우리당, 국민중심당, 무소속
선거 정보
선거명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국가대한민국
국기 연도1997년
유형의회
이전 선거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전 선거 연도2002년
선거일2006년 5월 31일
차기 선거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차기 선거 연도2010년
투표율51.6% (2.7%p 증가)
선출 의석광역단체장 16명, 광역의원 733명, 기초단체장 230명, 기초의원 2,888명, 교육의원 5명
정당별 결과 - 광역단체장
한나라당12석 (0석 보합)
민주당2석 (2석 감소)
열린우리당1석 (1석 증가)
국민중심당0석 (0석 증가)
민주노동당0석 (0석 보합)
정당별 결과 - 광역의원
한나라당557석 (57석 증가)
민주당80석 (63석 감소)
열린우리당52석 (52석 증가)
국민중심당15석 (15석 증가)
민주노동당15석 (4석 증가)
정당별 결과 - 기초단체장
한나라당155석 (1석 감소)
민주당20석 (24석 감소)
열린우리당19석 (19석 증가)
국민중심당7석 (7석 증가)
민주노동당0석 (2석 감소)
정당별 결과 - 기초의원
한나라당1621석 (1621석 증가)
민주당276석 (276석 증가)
열린우리당630석 (630석 증가)
국민중심당67석 (67석 증가)
민주노동당66석 (66석 증가)
주요 정당 및 지도자
박근혜 대표최고위원
한화갑 대표최고위원
정동영 당의장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문성현 당대표

2. 투표율

전국 투표율은 51.6%를 기록했다.[21]


3. 선거 제도

이번 선거부터 기초의원 선거 제도가 소선거구제에서 중선거구제로 변경되었다. 비례대표제가 광역의원과 기초의원 모두에게 신설되었다. 정당 공천제가 광역 및 기초 단체장, 광역 및 기초 의원 모두에게 허용되었다.[20]

4. 정당별 결과

이 지방선거는 2003년 출범한 노무현 정부의 중간 평가이자, 2007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여당인 열린우리당에 대한 국민 지지도를 가늠하는 척도였다. 선거 초반부터 야당인 한나라당이 우세를 보였으며, 광역단체장 선거에서는 16개 시·도 중 12개 시·도에서 승리하고, 지방의회 선거에서도 수도권 지역구를 석권하는 등 압승을 거두었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전라북도 김완주 도지사만 당선되었고, 지방의회 선거에서도 수도권에서 전패하는 등 참패하여 정동영 의장이 패배 책임을 지고 사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1]

단체장 당선자 명단 및 소속 정당, 득표율[22]
시·도당선자명정당득표율
서울특별시오세훈한나라당61.1%
인천광역시안상수한나라당61.9%
경기도김문수한나라당59.7%
대전광역시박성효한나라당43.8%
충청북도정우택한나라당59.7%
충청남도이완구한나라당46.3%
부산광역시허남식한나라당65.5%
대구광역시김범일한나라당70.2%
울산광역시박맹우한나라당63.2%
경상북도김관용한나라당76.8%
경상남도김태호한나라당63.1%
광주광역시박광태민주당51.6%
전라북도김완주열린우리당48.1%
전라남도박준영민주당67.7%
강원도김진선한나라당70.6%
제주특별자치도김태환무소속42.7%



정당별 당선자 수
한나라당열린우리당민주당무소속
12121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155곳, 민주당이 20곳, 열린우리당이 19곳, 국민중심당이 7곳, 무소속이 29곳에서 승리하였다.[27]

광역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전체 733석 중 557석을 차지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민주당은 80석, 열린우리당은 52석을 얻는 데 그쳤다.[17]

기초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1,621석을 얻어 압승했다. 열린우리당은 630석, 민주당은 276석, 민주노동당은 66석, 국민중심당은 67석, 무소속은 228석을 기록하였다.[17]

4. 1. 광역자치단체장

2006년 7월 1일 당선자들이 취임식을 가졌다.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결과[22]
시·도당선자명정당득표율
서울특별시오세훈한나라당61.1%
인천광역시안상수한나라당61.9%
경기도김문수한나라당59.7%
대전광역시박성효한나라당43.8%
충청북도정우택한나라당59.7%
충청남도이완구한나라당46.3%
부산광역시허남식한나라당65.5%
대구광역시김범일한나라당70.2%
울산광역시박맹우한나라당63.2%
경상북도김관용한나라당76.8%
경상남도김태호한나라당63.1%
광주광역시박광태민주당51.6%
전라북도김완주열린우리당48.1%
전라남도박준영민주당67.7%
강원도김진선한나라당70.6%
제주특별자치도김태환무소속42.7%



정당별 당선자 수
한나라당열린우리당민주당무소속
12121



한나라당은 16개 시·도 중 12곳에서 승리하며 압승했다. 열린우리당은 전라북도에서만 승리했고, 민주당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서 승리했다.[4]

4. 2. 기초자치단체장

2006년 7월 1일 취임한 기초자치단체장 당선자 수는 다음과 같다.[17]

정당당선자 수
열린우리당19
한나라당155
민주당20
국민중심당7
무소속29
총합230





한나라당이 155곳에서 승리하여 압승했다. 민주당은 20곳, 열린우리당은 19곳에서 승리했다.[27]

서울특별시종로구김충용중구정동일용산구박장규성동구이호조광진구정송학
동대문구홍사립중랑구문병권성북구서찬교강북구김현봉도봉구최선길
노원구이노근은평구노재동서대문구현동훈마포구신영섭양천구이훈구
강서구김도현구로구양대웅금천구한인수영등포구김형수동작구김우중
관악구김효겸서초구박성중강남구맹정주송파구김영순강동구신동우
인천광역시중구박승숙동구이화용남구이영수연수구남무교남동구윤태진
부평구박윤배계양구이익진서구이학재강화군안덕수옹진군조윤길
경기도수원시김용서성남시이다엽의정부시김문원안양시신중대부천시홍건표
광명시이효선평택시송명호양주시임충빈동두천시최용수안산시박주원
고양시강현석과천시여인국의왕시이형구구리시박영순남양주시이석우
오산시이기하화성시최영근시흥시이련수군포시노재영하남시김황식
파주시류화선여주군이기수이천시조병돈용인시서정석안성시이동희
김포시강경구광주시조익동포천군박윤국연천군김규배양평군한택수
가평군양재수
강원도춘천시이광준원주시김기렬강릉시최명희동해시김학기삼척시김대수
태백시박종기정선군유창직속초시채용생고성군함형추양양군이진호
인제군박삼래홍천군노승철횡성군한규호영월군박선규평창군권혁승
화천군정갑철양구군전창범철원군정호조
충청북도청주시남상우충주시한창희제천시엄태영단양군김동성청원군김재욱
영동군정구복보은군이향래옥천군한용택음성군박수광진천군유영훈
괴산군임각수증평군류명호
대전광역시동구이장우중구이은권서구가기산유성구진동규대덕구정용기
충청남도천안시성무용공주시이준원보령시신준희아산시강희복서산시조규선
태안군진태구금산군박동철연기군이기봉논산시임성규계룡시최홍묵
부여군김무환서천군나주열홍성군이종건청양군김시환예산군최승우
당진군민종기
전라북도전주시송하진군산시문동신익산시이한수정읍시강광남원시최중근
김제시이건식완주군임정엽진안군송영선무주군홍낙표장수군장재영
임실군김진억순창군강인흥고창군이강수부안군이병학
광주광역시동구유태명서구전주연남구황일봉북구송광운광산구전갑길
전라남도목포시정종득여수시오현섭순천시노관규나주시신정훈광양시이성웅
담양군이정섭장성군유두석곡성군조형래구례군서이동고흥군박병종
보성군정종해화순군전형준장흥군김인규강진군황주홍완도군김종식
해남군박철현진도군박련수영암군김일태무안군서삼석영광군강종만
함평군이석형신안군고길호
대구광역시중구윤순영동구이재만서구윤진남구임병헌북구이종화
수성구김형렬달서구곽대훈달성군이종진
경상북도포항시박승호울릉군정윤열경주시백상승김천시박보생안동시김휘동
구미시남유진영주시김주영영천시손병목상주시이정백문경시신현국
예천군김수남경산시최병국청도군이원동고령군이태근성주군이창우
칠곡군배상도군위군박영언의성군김복규청송군윤경희영양군권영택
영덕군김병목봉화군김희문울진군김용수
부산광역시중구이인준서구박극제동구정현옥영도구어윤태부산진구하계열
동래구최찬기남구이종철북구이성식해운대구배덕광기장군최현읍
사하구조정화금정구고봉복강서구강인길연제구이위준수영구박호윤
사상구윤덕찬
울산광역시중구조용수남구김두겸동구정천석북구강석구울주군엄창섭
경상남도창원시박완수마산시황철곤진주시정영식진해시이재복통영시진의장
고성군이학렬사천시김수영김해시김종간밀양시엄룡수거제시김한겸
의령군김채용함안군진석규창녕군김종규양산시오근섭하동군조유행
남해군하영제함양군천사녕산청군이재근거창군강석진합천군심의조


  • 남성 당선자: 227명
  • 여성 당선자[24]: 3명


한편, 제주특별자치도는 특별자치도로 개편됨에 따라 기존의 기초자치단체가 폐지되었고, 기초자치단체였던 제주시서귀포시는 특별자치도 아래 설치된 “행정시”가 되었다. 행정시 시장은 특별자치도지사가 임명하는 제도이므로 선거는 실시되지 않았다.

4. 3. 광역의원

2006년 7월 1일,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광역의원들의 취임식이 열렸다.

'''정당별 결과'''

정당지역구비례대표총 당선자수
열린우리당331952
한나라당51839557
민주당71980
민주노동당51015
국민중심당13215
무소속1414
총합65578733



한나라당이 전체 733석 중 557석을 차지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민주당은 80석, 열린우리당은 52석을 얻는 데 그쳤다.[17]

'''지역별 결과'''

지역열린우리당한나라당민주당민주노동당국민중심당무소속
서울특별시210211106
인천광역시13233
경기도211511119
강원도2361140
대전광역시117119
충청남도3211438
충청북도227231
광주광역시11819
전라남도3461151
전라북도22131238
부산광역시145147
대구광역시12829
울산광역시15419
경상남도1472353
경상북도1501355
제주특별자치도92212236
합계5255780151514733



'''지역별 정당득표'''

지역열린우리당한나라당민주당민주노동당국민중심당시민당한미준희망사회당합계
서울특별시837,3292,243,473409,801391,20919,5227,5835,1129,6423,923,671
인천광역시175,031490,41558,864116,1477,256847,713
경기도814,8962,149,158235,954396,11329,90823,2313,649,260
강원도165,785412,79184,180662,756
대전광역시139,436243,78946,07496,026525,325
충청남도164,462336,62270,469241,863814,416
충청북도176,206325,15574,30324,855600,519
광주광역시131,43321,907228,53176,5694,469462,909
전라남도215,12953,116553,336119,613941,194
전라북도318,57861,787302,373119,771802,509
부산광역시266,735891,11927,159170,5971,355,610
울산광역시60,282240,638110,172411,092
경상남도242,988855,777241,8771,340,642
대구광역시113,543700,79080,7557,780902,868
경상북도161,452937,10425,431110,87216,8201,251,679
제주특별자치도72,082122,71321,79054,330270,915
전국4,056,34010,086,3541,863,2392,263,051436,7747,5835,11244,59818,763,078


4. 4. 기초의원

2006년 7월 1일 취임식을 가진 기초의원 당선자들의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17]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열린우리당54387630
한나라당14012201621
민주당23343276
민주노동당521466
국민중심당561167
무소속228-228
총합25133752888



한나라당이 1,621석을 얻어 압승했다. 열린우리당은 630석, 민주당은 276석을 얻었다.

지역의석 수한나라당열린우리당민주당국민중심당민주노동당무소속
서울3662331191022
부산158137192
대구1029921
인천976131122
광주59163481
대전5530214
울산43252115
경기364245103178
강원146923222
충북1146139113
충남152662252111
전북1738552630
전남21134135339
경북2471835257
경남22616913935
합계2,5131,4015432335652228



지역의석 수한나라당열린우리당민주당민주노동당국민중심당
서울5329222
부산24177
대구14131
인천15105
광주945
대전853
울산752
경기5338132
강원23212
충북17134
충남2613211
전북2411103
전남32626
경북373421
경남332346
합계37522186431411


5. 선거 결과 분석 및 영향

2006년 7월 1일에 치러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노무현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이자 2007년 대통령 선거의 전초전으로 여겨졌다.

한나라당은 53.8%의 득표율로 역대 최고 지지율을 기록하며 압승했다. 특히 수도권 5개 지역을 제외한 모든 기초단체장을 석권하는 등 큰 승리를 거두었다.[1][2][3][5][6][7][8][9][10][14][15] 그러나 충청도에서는 국민중심당과의 표 분산으로 기대만큼의 성과를 얻지 못했다.[11]

열린우리당은 광역자치단체장 1석, 기초단체장 19석이라는 참패를 당하며 제3당으로 밀려났다.[4][12] 당내 주요 인사들이 탈당하는 등 분열이 심화되었고, 이후 정계 개편 과정에서 몰락의 길을 걸었다. 다만, 대구광역시/경상북도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 권에서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비해 득표율이 상승하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기도 했다.

국민중심당충청도를 중심으로 선전했지만, 충청남도지사 확보에는 실패했다.[11] 이후 이회창과 연합하여 자유선진당을 창당했다.

민주노동당경상남도 등 동남권에서 열린우리당을 제치고 2위를 기록하는 등 일부 성과를 거두었으나,[7] 내부 파벌 싸움으로 인해 진보신당민주노동당으로 분열되었다.

지역의석 수한나라당민주당열린우리당국민중심당무소속
서울2525
부산16151
대구88
인천1091
광주55
대전55
울산541
경기312713
강원1818
충북12543
충남16637
전북14545
전남221057
경북23194
경남201424
합계2301552019729
출처: 국제관계 지방자치단체 협의회[17]


6. 특이사항

이번 선거에서는 지역구 선거 제도가 소선거구제에서 중선거구제로 바뀌었고, 비례대표제가 새로 도입되었다. 또한, 이전에는 금지되었던 정당 공천이 허용되었다.[20]

투표율은 51.6%로, 지난 회(48.9%)보다 소폭 상승했다.[21]

시·도별 투표율과 전회 투표율
시·도명이번 (2006년)전회 (2002년)증감
서울특별시49.8%45.8%+4.0%p
인천광역시44.3%39.3%+5.0%p
경기도46.7%44.6%+2.1%p
대전광역시49.4%42.3%+7.1%p
충청북도54.7%55.8%-1.1%p
충청남도55.8%56.2%-0.4%p
광주광역시46.3%42.3%+4.0%p
전라북도57.9%55.0%+2.9%p
전라남도64.3%65.6%-1.3%p
강원도58.7%59.3%-0.6%p
부산광역시48.5%44.6%+3.9%p
대구광역시48.5%41.4%+7.1%p
울산광역시52.8%52.8%±0.0%p
경상북도61.5%60.4%+1.1%p
경상남도57.8%56.5%+1.3%p
제주특별자치도67.3%68.9%-1.6%p


6. 1. 부산 금정구 마선거구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의원이었던 박상규는 2006년 5월 12일 실종되었다. 박상규의 가족은 5월 16일 그의 실종신고를 하고[30] 선거사무장과 함께 대리로 금정구 마 선거구 구의원 후보로 등록하였다.[31] 선거 결과 박상규는 3위로 득표하여 당선자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2006년 6월 10일 그의 사체가 발견되었는데,[30] 그는 실종된 당일인 5월 12일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31]

4위로 득표한 김현철은 박상규의 당선 결정을 취소하고 자신을 당선자로 결정해달라는 취지로 금정구선관위원장에게 소송을 했지만 패소했다.[31][32] 금정구선관위는 이듬해 12월 19일에 재선거를 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2]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3]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4]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5]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6]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7]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8]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9]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10]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11]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12]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13]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14]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15]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16] 웹사이트 Election Information System http://www.nec.go.kr[...]
[17] 서적 CLAIR Report No. 311 "2006 Unified Local Elec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Council of Local Authorit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18] 서적 CLAIR Report No. 311 "2006 Unified Local Elec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Council of Local Authorit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19] 문서 済州特別自治道の教育委員会を構成する委員。済州道が特別自治道に改編されたことに伴い教育委員会の委員も公選制となり、本選挙から選挙が実施された。
[20] 웹사이트 大韓民国の2006年統一地方選挙 http://www.clair.or.[...] null
[21] 문서 歴代統一地方選挙投票率の比較
[22] 문서 選挙結果分析 1 広域自治団体長選挙
[23] 문서 広域議会議員地域別・政党別当選者現況
[24] 문서 性別・年齢別当選者数
[25] 서적 第4回 全國同時地方選擧總覽 : 2006.5.31 施行 韓國中央選擧管理委員會
[26] 웹사이트 韓国中央選挙管理委員会第4回全国同時地方選挙投開票照会システム http://www.nec.go.kr[...]
[27] 문서 広域・基礎自治団体長の当選結果(人数)と前回(2002年)との比較
[28] 문서 基礎議会議員地域別・政党別当選者現況
[29] 문서 한나라당+자유민주연합
[30] 뉴스 박상규 구의원 당선자 숨진채 발견 http://www.ibknews.c[...] 2006-06-12
[31] 법원판결 부산고법, 2006수17, 2006-10-20 선고 http://www.law.go.kr[...]
[32] 뉴스 후보등록전에 사망한자 선거 당선돼… 재선거 해야 https://m.lawtimes.c[...] 2007-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